鶹Ӱ

 

교과목안내

생명과학과 교과목 안내

BIO222 계통분류학 (Phylogenetics)

고등생물의 동정, 명명법, 분류에 관한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현 지구상에 있는 생물의 중 요성과 다양성, 그리고 이들의 보존문제에 대해 배운다.

BIO227 생명과학전공실험Ⅰ (Biological Experiment I)

생명과학과 전공 2학년에 진입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계통분류학, 미생물학 및 생태학 실험기법을 습득하기 위한 실험교과 과정이다. 식물, 미생물 및 곤충 등의 동정 및 명명, 분류체계 및 수리통계 분석, 생태계의 구성, 먹이사슬, 생산성 측정 및 유전자 염기 서열 분석을 통한 계통분지 분석방법 등을 습득하고 세균의 분리 배양 및 성장 실험을 통한 생물학 기본 연구 방법을 습득한다.

BIO228 생명과학전공실험Ⅱ (Biological Experiment Ⅱ)

생명과학과 2학년에 학생들을 대상으로 생화학 및 생리학 실험기법들을 익히기 위한 실험과목으로, 수용액 농도, pH, 완충액 제조, 아미노산의 pI와 pK 측정, UV/VIS 분광광도 분석과 단백질, DNA 농도 측정, 박테리아 단백질 순수 분리, 정제, 전기영동 및 웨스턴블럿팅, 당단백질 웨스턴분석 및 lectin blotting, 효소 활성도 측정: KM 및 KI 측정, 쥐 뇌절편 제작과 면역화학염색, ELISA를 이용한 호르몬 정량, 생쥐 배아 발생, 세포 막전위 측정 실험을 통한 생명과학 기본 연구 방법을 습득한다.

BIO229 생물다양성실습 (Biodiversity Practice)

이 실습과목은 생명과학과 학생들이 세부 전공을 배우기 전에 다양한 생물들을 실제로 체험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생명 현상이 세포 수준을 넘어서 개체, 개체군, 군집, 생물권 수준에서도 나타나는 것을 인식하고 기본적인 동정 방법과 분류 체계를 익히게 하는 과목이다. 한 학기 동안, 학교 주변 및 장거리 실습여행을 통해 식물과 곤충 등 다양한 생물들을 접하고, 기존 분류 체계에 맞춰 동정함으로써 생물다양성 소양을 기른다.

BIO231 세포생물학 (Cell Biology)

세포생물학은 생물체의 기본 바탕을 이루는 세포의 구조 및 기능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세포의 관찰과 연구는 분자생물학, 생화학 및 세포신호전달 차원에서 이루어진다. 세포학은 세포의 구조에서 비롯하여 세포 상호간에 이루어지는 여러 가지 현상 및 세포내/세포간 신호전달과 조절을 관찰하고 분석함으로써 생명현상의 발생과 소멸, 질병의 발생과 치료에 대한 상세한 지식을 얻을 수 있고 생물학 관련 분야인 생화학, 생리학, 유전학 등에 유익한 자료를 제공한다.

BIO272 생화학 (Biochemistry)

생물체를 구성하는 단백질, 탄수화물, 핵산, 지질 등 생체 고분자화합물의 화학적 구조와 특성에 대하여 배우고 이들이 생물의 생명현상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도 공부한다.

BIO311 바이오인포매틱스 (Bioinformaticsy)

이 과목은 대용량 생물학 데이터에 대한 정량적 분석법 학습에 초점을 맞춰, 각종 컴퓨터 알고리즘과 통계적 이론을 다룬다. Python 프로그래밍 기초, 염기서열 분석, 유전체 분석, 유전자 발현양 분석, data clustering 등을 익힌다. Python 프로그래밍을 바탕으로 Biopython을 활용한 바이오데이터 분석을 학습한다. 또한, python open source program을 이용한 데이터 분석을 실습하고 배운다.

BIO322 생태학 (Ecology)

이 강의는 생물과 생물 간의 상호작용, 그리고 생물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학문인 생태학의 전반적인 내용을 소개하며 개체, 개체군, 군집, 생태계, 경관 수준에서의 생태학적 현상에 대한 이론을 배운다. 구체적으로 생태학 정의, 진화, 기후, 토양, 물 등 환경요인, 개체군, 종간 상호작용, 군집 구조 및 동태, 생태계의 에너지 흐름과 물질순환, 생지화학적 순환, 경관 생태학 등에 대해 학습한다.

BIO331 발생학 (Developmental Biology)

생화학과 분자생물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정자와 난자의 구조와 성숙과정, 수정 기작, 수정 후의 형태형성 과정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BIO332 생명과학전공실험Ⅲ (Biological Experiment Ⅲ)

생명과학 전공의 세포생물학, 유전학 및 신경생리학 실험기법들을 익히기 위한 실험과목으로 세포배양 및 동결보존, MTT assay와 세포 성장, 형광현미경을 사용하여 세포 소기관 관찰, 줄기세포와 유세포분석, 동물세포 형질전환(과발현과 감발현), 상염색체 및 성염색체 유전, 재조합율과 염색체 지도 제작과 사람 핵형 분석(FISH 염색 등)의 복합적인 실험을 수행함으로써 이론으로 학습한 전공지식을 확고히 하고 나아가 취업이나 댶원 진학을 위한 핵심 연구기법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BIO333 생명과학전공실험Ⅳ (Biological Experiment Ⅳ)

생명과학 전공의 분자생물학 및 유전공학, 생명정보학 연구 기법들을 익히기 위한 실험과목으로 유전자 분리 및 구조 분석, 재조합 DNA 제조 실험을 기본으로 박테리아의 형질전환, 외래 유전자 도입과 발현 등의 실험을 수행한다. 또한 DNA 벡터에서 in vitro transcription, cDNA 합성을 수행하고, NGS기법으로 생산한 RNA-seq 데이터를 분석한다. 생명정보학 분석을 위해 리눅스 기초와 유전체 분석 프로그램을 배우고 실습한다. 이론으로 배운 전공지식을 실습하고 취업 및 댶원 진학을 위한 핵심 연구 기법을 습득하는 것이 목표이다.

BIO334 생리학 (Physiology)

생리학이란 인간의 몸과 행동을 결정하는 하위 시스템에 대한 과학이다. 따라서 분자 수준으로부터 개체 수준까지 다양한 범위에서의 연구를 포함하며 다양한 실험적 방법과 해석론을 이끌어 왔다. 일예로, 심장의 기능은 심근세포에 의해 주로 결정이 된다. 심근세포의 기능은 다시 이온채널과 수용체에 의해 결정된다. 이온채널과 수용체 연구는 생물리학이나 생화학 영역에 속한다, 심장과 혈관계가 만나는 순환계의 수준에서는 새로운 창발적 현상이 생겨나온다. 개체 수준에서는 병태학, 유전학, 행동학의 연구를 통해 궁극적으로 병리현상과 연결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면서 우리는 복잡한 생리학학 체계가 생겨나고 진화하였는지 공부한다.

BIO336 생체 조직학 (Human Histology)

본 과목을 이수한 학생은 실제 살아가면서 마주 할 수 있는 질환을 세포 레벨에서 이해할 수 있으며, 실제 바이오 및 제약회사가 원하는 중요한 생체 지식을 습득하게 된다.

BIO337 뇌과학 입문 (Introduction to Brain Science)

뇌과학 분야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와 함께 뇌 관련 여러 질환들에 대해 심도깊게 다루는 신경과학 과목이다. 뇌질환의 원인, 가능한 치료 방법들 외 다양한 정보를 통해 뇌의 구조와 기능의 중요성도 같이 배운다.

BIO338 신경생물학 (Neurobiology)

신경생물학 과목은 인간 신경계의 구조와 기능을 탐색한다. 학기 전반부는 인간의 신경계를 기본적으로 이루는 신경 세포와, 그들의 구조, 기능, 기능 원리에 대해 알아본다. 학기 후반부에는 이를 응용한 다양한 신경과학 분야(자극의 감지, 동기부여, 수면, 언어, 학습과 기억)를 심도 있게 다룬다.

BIO342 면역학 (Immunology)

생체의 면역현상에 대한 기초지식을 익히기 위하여 선천성 면역 및 후천선 면역을 담당하 는 세포와 가용성인자 등을 배우고 외래물질에 대한 반응 특이 성과 알러지 반응 기작들의 생물학적 중요성에 대하여 다룬다.

BIO344 미생물학 (Microbiology)

미생물학은 미생물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학문 분야로서 다양한 감염병 연구와 미생물을 활용한 응용기술 개발 등에 폭넓게 쓰이고 있다. 본 과목에서는 미생물의 구조, 대사, 분류, 생리, 유전과 관련된 기초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BIO346 응용미생물학 (Applied mocrobiology)

응용미생물학은 의학, 식품, 공학 산업에서 미생물이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알고, 그 원리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한다. 특히 미생물에서 오믹스 기반의 연구, 재조합 단백질 생산, 유용 물질 생합성, 발효 등의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BIO347 세포면역학 (Cellular Immunology)

본 교과목은 면역세포들이 항원의 용광로인 점막 면역 체계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주어지는 내부/외부 자극에 대해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원리를 학습하며, 면역학적으로 거시적 통찰을 얻게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교과목은 면역학 강의를 통해 면역학의 기본 원리를 이미 학습한 학생들에게 추천되지만, 수업 중에 필수적인 원리에 대한 설명을 할 것이므로 선 면역학 강의 수강이 필수적이진 않음. 다만 원서를 읽고 이해하는 능력, 그리고 복잡한 면역 생물학적 현상을 이해하고자 노력하는 자세는 요구된다.

BIO355 분자생물학 (Molecular Biology)

생체 고분자 화합물 중 유전정보의 저장 및 발현의 핵심물질인 핵산과 단백질에 대해서 배운다. 특히 핵산의 물리화학적 특징 및 구조를 분석하고 복제와 수선 기작, 발현기구 및 조절 기작을 집중적으로 학습한다.

BIO356 유전학 (Genetics)

핵심적인 생명 현상인 유전의 기본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기 위하여, 감수분열동안의 염색체의 분리 및 배분과정 및 염색체의 분리 및 배분과정 및 염색체의 특성과 유전자의 구조, 형질 발현, 재조합 및 변이 들에 의한 유전적 다양성 등에 대해서 배운다.

BIO364 식물생리학 (Plant Physiology)

식물들을 대상으로 물질수송, 호흡, 광합성, 성장과 분화 등의 생리현상에 대한 기본 원리들을 배운다.

BIO393 시스템생물학 (Systems Biology)

시스템생물학은 기존 생물학의 단편주의적 연구 접근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세포 또는 생명체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간주, 그 안에서 일어나는 전체적인 생리학적/병리학적 생명현상을 세포신호전달 네트워크를 통하여 총괄적이고도 체계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질병의 원인 발견 및 치료를 추구하는 21세기의 생명과학이다.

BIO398 생물통계 (Biostatistics)

생물학 및 의학 연구에서 사용되는 통계법을 소개한다. 생물학적 데이터의 분포, 통계적 추론의 개념, 회기 분석, 상관관계 분석, 통계적 실험 디자인 등이 다루어질 것이다. 또한, 가설 검증법을 통해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하는 분석을 배우게 되며 특정 목적과 질문에 맞는 최적의 통계법을 결정하는 법을 익히게 될 것이다.

BIO411 진화학 (Evolutionary Biology)

생물학의 중심이론인 진화론의 기본원리와 이의 발전과정을 배운다.

BIO444 환경과학 (Environmental Science)

환경과학은 환경문제를 생물학적 지식과 생태학적인 원리를 바탕으로 이해하고 원인을 파악하여 환경 문제를 자연친화적으로 해결하려고 할 때 필요한 생물학 및 생태학 지식과 견해를 다루는 과목이다. 구체적으로 생태학적 기본 원리, 인간 생태학, 식량 문제, 삼림, 보전생물학, 기후변화, 대기오염, 수질오염, 수자원 문제, 에너지, 도시 및 폐기물 무제를 다룬다.

BIO451 유전공학 (Genetic Engineering)

유전자 조작을 위한 다양한 기법을 소개하고 이에 관한 이용방법 및 원리가 의학품 제조, 식품공학, 농학 등 여러분야에 응용되는 사례들을 학습한다.

BIO452 분자유전학 (Molecular Genetics)

생물체의 유전현상을 분자수준에서 이해하기 위하여 유전자의 복제와 발현, 그리고 재조합 현상에 관련된 최근의 이론과 응용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BIO485 생명과학특수연구1(캡스톤디자인) (Special Studies in Biological Sciences1(Capstone Design))

실험실습 과정으로 학생들은 본인의 희망에 따라 생명과학 전공 내 각 실험실 또는 연구실에 배치되어 지도교수의 개별지도에 따라 직접 연구에 참여하게 된다.

BIO486 생명과학특수연구2(캡스톤디자인) (Special Studies in Biological Sciences2(Capstone Design))

실험실습 과정으로 학생들은 본인의 희망에 따라 생명과학 전공 내 각 실험실 또는 연구실에 배치되어 지도교수의 개별지도에 따라 직접 연구에 참여하게 된다.

BIO487 생명과학 콜로퀴엄Ⅰ(캡스톤디자인) (Colloquium in Biological Sciences I (Capstone Design))

본 강좌는 생명과학과 3/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최대의 학습성과를 위하여 생명과학 콜로퀴엄 II와 동시 수강을 추천한다. 사회진출 이후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며 성공적인 커리어를 쌓아 갈 수 있도록, 학생들의 실무적 능력, 문제해결 능력과 발표 능력을 향상을 위하여, 문헌 및 데이터/정보 탐색과 정리-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디자인/기획 과정을 실습하고 발표 및 토론을 한다. 이를 통하여, 바이오 산업/연구 현장실습을 위한 배경을 제공한다.

BIO488 생명과학 콜로퀴엄Ⅱ(캡스톤디자인) (Colloquium in Biological Sciences Ⅱ (Capstone Design))

본 강좌는 생명과학과 3/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최대의학습성과를 위하여 생명과학 콜로퀴엄 I과 동시 수강을 추천한다. 사회진출 이후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며 성공적인 커리어를 쌓아 갈 수 있도록, 학생들의 문제해결 능력과 발표 능력을 향상을 위하여, 문헌 및 데이터/정보 탐색과 정리-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발표 및 토론을 한다. 이를 통하여, 바이오 산업/연구 현장실습을 위한 배경을 제공한다.

현장인턴십 1~6(Field Internship 1~6)

본 강좌는 학생들로 하여금 전공 관련 현장수업(이하 인턴십 교육과정 이라고 한다)을 통해 실무를 익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대학과 협약을 맺은 기관 및 산업체(이하 인턴십기관 이라 한다)에 파견되어 일정 기간 동안 현장 업무에 참여하여 실무를 익히며 학점을 이수하는 과정이다.
※ 자연인턴십 1~6, 창업현장실습1,2 창업실습1,2 교과목(총 30학점) 중 최대 6학점까지만 전공선택으로 인정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