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목표
- 사회의 변혁을 선도하는 지성교육
- 사회 변화에 창조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인재 양성
- 사회의 수요에 부응하는 실용적 교육
- 합리적 분석 능력을 갖출 수 있는 과학적 사고 교육
- 문화시민으로서 갖춰야 할 기본 자질에 관한 교양 교육
발전 계획 수립의 배경
- 독립적인 역사를 갖고 있는 여러 학문 분야들로 구성(경제학, 행정학, 심리학, 정치학, 사회학, 스포츠레저학)
- 학교 조직 단위로서의 사회과학댶 전체의 발전 방향 부재
- 구성원(교수, 학생)들이 공유할 수 있는 합의적 사회과학 교육 목표 설정 필요
- 개별 학문 전공의 통합적 synergy 효과 창출 필요
- 개별 전공간의 연계 교육 및 연구 부족
- 전공간의 조정과 통합을 위한 장치도 미비
발전 계획 수립의 기본 방향
- 모든 전공이 공유할 수 있는 사회과학댶의 기본 교육 목표 설정
- 학제간 혹은 학문간의 통합 교육, 연구 프로그램 적극 육성
- 각 전공의 독특성을 유지하며 사회과학댶의 전체적 발전 동시 추구
사회과학댶 교육 Targets
- 동기유발에 따른 관여 (Engagement by Motivation)
- 지식에 기반을 둔 이해 (Knowledge by Understanding)
- 실천적 실행 (Action by Intellectual Faculty)
- 비판과 행위에 대한 성찰 (Critique & Reflection)
- 합리적 판단에 근거한 기획 (Design by Judgement)
- 헌신과 정체성 (Commitment & Identity)
Action Plans
추진 계획 1 : 동기화와 학습에 대한 관여
- 격의 없는 사제활동 프로그램 :
- 각 교수별 topic group 결성(학년별 지도교수제 대체)
- 진로 방향의 조기 설정 촉진
- Peer Consulting Program 개발
- 학부생의 연구 Intern제 : 사회과학연구소, 수원 발전 연구센터, 아주상담센터 등과 연계
추진 계획 2 : 지식과 이해 I
- 전문성을 가질 수 있는 학부 교육의 강화 :
- post-graduate 프로그램 개발
- 댶원 과목과의 연계 강화
- 전공별 5년제 학부-댶원 프로그램 구성
- 교육의 집약도를 높이기 위한 커리큘럼 조정 : 졸업 이수 학점의 축소 / 교육 평가제도의 강화
- 연구 및 강의 중점 교수제 시행 :
- 연구 중점 교수의 선정 및 강의 부담 축소
- 외부 수탁 연구 유치 교수에 대한 지원
- 업적 평가에 강의 비중 강화
추진 계획 3 : 실천적 실행 I
- 실험, 실습, 현장 교육의 강화 : 실습 강좌에 대한 경제적 지원
- 진로연계 프로그램 수립 : 단기 취업교육 강화, Career Focused Program(CFP) 개발
- Specialization 프로그램 운영 :
- 국제통상, 지역연구(98년도부터 시행)와 연계
- 미디어 및 광고 프로그램, 제 3섹터 전공 프로그램 실시
추진 계획 3 : 실천적 실행 II
- 새로운 크러스터 혹은 협동 전공 프로그램의 지속적 개발(도시/환경, 복지/사회, 직업/진로자문 등)
- 실천적 실행과 적용 능력 강화 : 외국어 능력 졸업 기준 설정 (TOEIC 700점)
- 자료(통계) 분석 능력 강화 : 기초 통계 tutor제 실시 및 통계분석 package 활용 강화
추진 계획 4 : 비판적 사고 능력
- 학부생 중심 연구 발표회 개최 : 학기별로 시의성 있는 주제에 대한 토론회 개최
- Honors Thesis Program : 우수 논문 포상제도
- 수업의 특성 분류 체계 도입과 토론 수업 강화 :
- 토론 위주 강의에 대한 행정적, 재정적 지원
- 토론 위주 수업 표준화 개발
추진 계획 5 : 기획 능력의 배가
- 학생들의 기획 활동 촉진 : 모의 유엔, 모의 행정 조정
- 각 전공별 소학회 활동 지원 :
- 소학회에 대한 의무적 지도 교수 관여
- 학생 주도 학습과 기획에 대한 지원
- 우수 논문 포상제도
추진 계획 6 : 헌신과 정체성
- 사회과학도 상징 정책(symbol-making policy) : 사회과학댶생의 아이덴터티 확립 / 사회과학도 헌장 제정
- 수원 공동체 문화 활성화 : 사회봉사과목 수강의 필수화
- 전공별 졸업생과의 연계 프로그램 : 전공별 동창회 구성 / 사회 진출 선배의 Homecoming Day